부산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부산

  • 분류 전체보기 (90)
    • 부산 (33)
    • 오륙도 (5)
    • Inside Korea (35)
    • 정의 (1)
    • 밥벌이 (14)
    • 와병기 (0)
  • 홈
  • 태그
  • 방명록

부산의 해안 입지 마을 2 영도구

영도구에는 개안마을, 석말추마을, 대풍포마을 등 7곳에 어촌이 발달했다. 남항동의 개안 마을은 해안을 매립하면서 갯벌을 메워 그 위에 형성된 마을이다. 갯바닥을 메워 만들어진 마을이라 하여 지명이 유래되었고 현재의 위치는 남항동 3가 이 있던 곳이다. 50여년 전까지만 해도 10여호의 민가가 있었고, 40여년 전에 마을의 흔적이 없어졌다. 석말추 마을은 남항동의 해안에 입지하였으며, 지명은 해안에 분포한 이암離岩에서 비롯 되었다. 석말추 앞 바다는 어장으로 유명하였으며 석말치, 섬돌추, 성발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평동의 대풍포 마을은 매축되기 이전에 있었던 마을이다. 조선시대 해안지역의 만입부에는 바람을 기다리는 곳, 혹은 바람을 대피하는 곳이라는 의미의 '대풍待風'-- 이라는 접두어를 가진 지명이 많..

  • format_list_bulleted 부산
  • · 2023. 1. 31.
  • textsms

부산 해안 입지 마을 1 (부산진구, 남구)

부산진구 전포동 '밭개' 마을은 동천 하류에 위치한 마을이다. 배가 이곳까지 왔다. 전포라는 지명은 `밭개` 를 한자 화 한 지명이다. 남구에는 7곳의 어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감만 1동 285번지 일대에는 '모래구찌' 마을이 있었는데, '모래' 라는 단어와 입구라는 일본말 '구찌' 를 붙여 유래된 지명이다. 소규모 어업이 이루어진 곳으로 연합철강과 8부두 등이 들어서면서 없어졌다. 감만동 일대에 있었던 '적기' 마을은 흙 빛깔이 붉다 하여 붙인 이름, 1982년 감만동에 편입되면서 없어졌고 일상적인 장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대연동의 석포 마을은 일명 돌이 많은 포구라는 의미로 돌개라고 불렀다. (1530) 이곳에 목장이 설치 되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마을 형성의 역사는 깊다. 1950년대 까지만..

  • format_list_bulleted 부산
  • · 2023. 1. 30.
  • textsms

용두산 타워 와 부산근대 역사관

1. 용두산타워 : 1973년 서울타워 보다 2년 앞서서 전국체전 기념으로 만들었다. 이때 꽃시계도 함께 만들었다. 상층부는 다보탑 모양을 땄다. 1955년 12월에 시비, 도비, 시민성금을 모아 세워진 이순신 동상이 있다. 1968년 4월 27일 세워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보다 앞선다. 일제 시대는 신사가 있던 자리다. 해방 후 주변지명을 충무동, 광복동으로 바꾼 이유는 일제의 기를 누르기 위함이다. 2. 부산근대역사관 : 1921년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건설되었다. 1910년 마산에 출장소 세웠다가 1921년 부산지점 완성되자 마산지점이 폐쇄 되었다. 모두 여덟 군데의 지점이 세워졌고 남아 있는 곳은 목포, 부산 두 군데이다. 목포도 근대역사 박물관으로 쓰인다. 동양척식 주식회사는 일본의..

  • format_list_bulleted 부산
  • · 2023. 1. 27.
  • textsms

초량왜관과 관부 연락선

1350년 부터 왜구가 창궐한다. 1380년 이성계가 남원에서 토벌했다. 1389년 위화도 회군을 같이한 박위로 하여금 대마도 정벌하게 한다. 1396년에 정벌 명령 있었고, 1419년 세종때 이종무가 정벌하고 회유책도 쓴다. 경상도에만 왜인 2천명이 정착한다. 1426년 삼포(부산포: 지금의 부산 동래구, 제포: 창원시 진해구, 염포: 울산 방어진)를 연다. 1510년 삼포왜란 발생하고 왜관을 폐쇄한다. 1512년 제포왜관 연다, 1521년 부산포왜관을 연다. 1544년 왜인들의 난동이 있어 부산포 왜관만 설치 운영한다. 초량왜관 : 임란 후 1607년 조선통신사-->1609 광해 1년 기유약조로 두모포 왜관(부산동구 수정동) 설치되었다. 두모포 왜관이 좁아서 1678년 초량왜관 설치된다. 용두산일대 ..

  • format_list_bulleted 부산
  • · 2023. 1. 23.
  • textsms

부산의 유래

부산이라는 지명은 원래가 부산(富山)이라는 산아래 위치한 포구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부산포의 명칭은 1469년 12월(성종 즉위 한달 뒤) 부자 부富의 부산에서 가마 부釜로 변경되었다. 협의의 범위로는 현 동구 좌천동에서 범일동 일대 바닷가 지역을 의미한다. 부산이라는 산이 좌천동 뒷산(증甑산) 임을 유추 할 수 있다. 부산의 산이 증산(甑山)이 된 이유는 임란당시 왜군이 쌓은 왜성이 무너지고 보니 그 모양이 시루와 같아서 그리 지었다 한다. 부산은 15개 구와 1개군(기장군)으로 구성된다. 개항전까지는 동래도호부가 설치된 동래지역이 중심지 였으나 개항 후 항구가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현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지역이 부산부 지역 이었고 동래구, 금정구, 부산진구, 사하구, 해운대구, 남구, 북구..

  • format_list_bulleted 부산
  • · 2023. 1. 20.
  • textsms

부산 원도심, 관부 연락선, <사의찬미> 윤심덕

1.부산원도심 중앙동, 대청동, 동광동, 광복동, 남포동 일대를 말한다. 개항 후 왜관에 일본인 거주가 늘어나면서 해안 매축공사가 시작된다. 제1부두(북항)는 1902~1908년까지 북만매립공사, 영선사 척평공사(1909~1912)로 건설되었다. 북항재래부두 개발공사란 연안부두, 국제부두, 중앙부두, 1~4 부두로 일제시대때 만들어져 100년이 지났다. 2005~2030년 마무리 예정이다. 2. 관부연락선(관부철도연락선),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 1905년 처음 취항한다. 일본 산요철도와 경부선을 연결한다 해서 '연락선' 이라고 부른다. 초량과 서울영등포 연결하는 경부선 철도가 1905년에 건설 되었고, 그해 9월10일 시모노세키와 부산을 오가는 관부 연락선이 뜬다. 관부 연락선을 타고 떠난 분이 60만..

  • format_list_bulleted 부산
  • · 2023. 1. 13.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5
  • 6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90)
    • 부산 (33)
    • 오륙도 (5)
    • Inside Korea (35)
    • 정의 (1)
    • 밥벌이 (14)
    • 와병기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