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녀의 기원은 고대 원시 어업 부터이다. 2016년 유네스코는 제주 해녀문화의 가치와 보전의 필요성을 인정해서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우리나라 해녀는 약 2만명으로 추산하는데 대부분이 제주도 출신이다.제주는 화산섬으로 토양이 농사 짓기에 적합하지 않다. 대부분의 남자들이 고기잡이 배를 타야 했고 배를 타다가 돌아 오지 못하면 여자들이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해녀들은 개인보다는 공동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바다를 단순히 채취의 대상으로 여기지 않고 공존의 대상으로 인식 했다.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바다를 관장하는 용왕신에게 안전과 풍어를 비는 해녀굿을 비롯해 해녀노래 등도 전승해 왔다. 해녀들의 무자맥질은 수심 5m에서 30초 정도를 견딜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심 20m까지 들어가서 2분 이상을 견딜때..
1962년 벚꽃의 원산지에 대한 논쟁이 한일 간에 있었다. 1962년 4월 19일 ` 일본국화 왕벚나무의 원산지는 제주도` 라는 기사가 동아일보에 실렸다. 다음에 4월에도 ` 왕벚나무 원산지는 역시 한라산 ` 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일본에는 자생하는 벚나무가 없었다. 1965년 한국정부는 한라산에 자생하는 왕벚나무를 천년 기념물로 지정했고 원산지 논란은 끝나는 것 처럼 보였다. 벚나무 종류는 다른 벚나무 종과 쉽게 교잡 할 수 있어서 그 기원을 밝히기가 어렵다. 이리저리 퍼져나간 종류만 200여종이 있다. 일본은 본국과 한국에서 자라는 왕벚나무 모두 재배종 이라 했다. 한라산에 자생 왕벚나무가 있는 것은 맞지만 이 역시 일본에서 교잡해서 생겨난 재배종 이라고 맞선다.1960년대 들어 정권을 잡은 박정희 ..
웅천에서는 조선전기 부터 분청사기와 백자를 생산했다. 웅천 가마에서 생산해서 앞의 포구를 통해서 일본에 수출했다. 임진왜란 당시에도 납치해서 데려갔다 한다. 1918년 기록에 의하면 당시 웅천도자기 기술자 100여명이 납치 되었다고 한다.1897년 11월 25일 웅천면에서 아전 출신 주현성의 막내아들 주기철이 태어 났다. 원래 이름은 주기복 이었는데 오산학교에서 세례를 받은뒤 주기철로 계명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만세운동에 참가했다가 헌병대에 연행 되었다. 1938년 신사참배를 거부해서 일본 경찰에 검거 되었고 감옥에서 목숨을 거두었다. 1944년 4월 13일 이다.면회를 온 아내에게 신앙의 양심과 자유를 지키기 위해서 뜻을 굽히지 않았던 투사의 마지막 남긴 말은 " 여보, 따뜻한 숭늉 ..
벚꽃의 꽃말은 뛰어난 미인 이다. 개화시기는 4월 초순에서 중순이고 제주도 한라산과 해남 두륜산이 원산지 이다. 장미과에 속하는 이 식물의 개화일은 한 개체 중 몇 송이가 완전히 피었을 때를 말하므로 꽃이 만개하는 시기와 약간은 다르다. 경남 창원 진해는 세계에서 벚나무가 가장 많다하여 `벚꽃 1번지` 로 불린다. 수십만 그루의 왕벚쫓이 일제히 피어오르면 온 천지가 솜사탕 처럼 하얗게 뒤 덮힌다.진해는 도시 전체가 벚꽃으로 명소를 찾는다는 것이 무의미하다. 장복산고개, 안민고개, 시루봉, 제황산공원, 여좌천, 해군사관학교 그 중 시루봉은 꽃눈을 맞으며 산책하기에 더 없이 좋은 곳이다.진해시 남동쪽 산줄기에 볼록 솟아난 산봉우리가 있는데 진해시 자은동과 웅천 1동에 걸쳐 있는 산이름이 웅산(635m) 이다..
봉산에 있는 소나무 한그루를 몰래 베면 곤장이 60대의 형벌에 처해 졌다. 국방과 관련된 송정과 봉산인 만큼 그 관리와 처벌은 엄격했다. 1744년 [속대전] 에 보면 봉산의 큰 나무 10그루를 베면 사형, 9그루 이하는 지방이나 섬으로 유배를 보냈다. 나무 한그루는 곤장이 60대 였다. 18세기 말부터 숲을 조성하는 조장 정책이 도입되었다.국방을 담당하는 수사가 봉산의 관리도 맡아 했다. 조선왕조는 전국에 소나무가 잘 자라는 635곳을 봉산으로 지정해서 벌채를 금했다. 1732년 경상도에 흉년이 들어 7개읍의 백성들이 몰래 봉산의 소나무 껍질을 벗겨 먹었다. 이 일로 해당읍 수령들은 파면 당했다. 이에 경상감사 조현종은 수령들의 구휼행정에 관계된 부분은 정상참작을 부탁했으나 국방상의 이유로 원칙을 고수..
1991년 부터 2023년 까지 32년간의 수종 선호도 조사에서 소나무는 1위를 차지 했다. 50% 이상이 소나무를 지지 했고 2위가 은행나무, 3위는 단풍나무이다. 일반국민과 전문가 집단에서 공히 소나무는 1위이다. 좋아하는 이유는 경관적 가치 때문이다. 국민들은 경관적 가치를 우선시 했고 전문가 집단은 인문적 가치와 환경적 가치를 고려했다.우리나라는 산림이 국토의 63%를 덮고 있다. 그 산림의 4/1 이 소나무와 곰솔이다. 유교적인 사상과 조선후기의 송정 정책으로 정부가 소나무를 보호해 왔고, 조선후기 온돌의 전국적 보급으로 연료를 위한 과도한 채취로 지면이 노출될 정도 였는데 소나무는 장소를 가리지 않고 비교적 잘 자라는 수종이다.중국의 유교경전에 " 천자는 소나무를 구목으로 심고 , 제후는 잣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