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부산

  • 분류 전체보기 (90)
    • 부산 (33)
    • 오륙도 (5)
    • Inside Korea (35)
    • 정의 (1)
    • 밥벌이 (14)
    • 와병기 (0)
  • 홈
  • 태그
  • 방명록

초량왜관과 관부 연락선

1350년 부터 왜구가 창궐한다. 1380년 이성계가 남원에서 토벌했다. 1389년 위화도 회군을 같이한 박위로 하여금 대마도 정벌하게 한다. 1396년에 정벌 명령 있었고, 1419년 세종때 이종무가 정벌하고 회유책도 쓴다. 경상도에만 왜인 2천명이 정착한다. 1426년 삼포(부산포: 지금의 부산 동래구, 제포: 창원시 진해구, 염포: 울산 방어진)를 연다. 1510년 삼포왜란 발생하고 왜관을 폐쇄한다. 1512년 제포왜관 연다, 1521년 부산포왜관을 연다. 1544년 왜인들의 난동이 있어 부산포 왜관만 설치 운영한다. 초량왜관 : 임란 후 1607년 조선통신사-->1609 광해 1년 기유약조로 두모포 왜관(부산동구 수정동) 설치되었다. 두모포 왜관이 좁아서 1678년 초량왜관 설치된다. 용두산일대 ..

  • format_list_bulleted 부산
  • · 2023. 1. 23.
  • textsms

Korean Traditional Paper that will last 1000 years or more

Few countries in the world manufacture their own paper to record their history. None can make paper that will last more than a thousand years, as traditional Korean paper Hanji does. The world`s oldest woodblock printed text, the Spotless Pure Light Dharani Sutra was printed on Hanji paper some 1,300 years ago, between 704 and 751. Hanji paper, made from the inner bark of the Dak tree, has almos..

  • format_list_bulleted Inside Korea
  • · 2023. 1. 20.
  • textsms

부산의 유래

부산이라는 지명은 원래가 부산(富山)이라는 산아래 위치한 포구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부산포의 명칭은 1469년 12월(성종 즉위 한달 뒤) 부자 부富의 부산에서 가마 부釜로 변경되었다. 협의의 범위로는 현 동구 좌천동에서 범일동 일대 바닷가 지역을 의미한다. 부산이라는 산이 좌천동 뒷산(증甑산) 임을 유추 할 수 있다. 부산의 산이 증산(甑山)이 된 이유는 임란당시 왜군이 쌓은 왜성이 무너지고 보니 그 모양이 시루와 같아서 그리 지었다 한다. 부산은 15개 구와 1개군(기장군)으로 구성된다. 개항전까지는 동래도호부가 설치된 동래지역이 중심지 였으나 개항 후 항구가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현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지역이 부산부 지역 이었고 동래구, 금정구, 부산진구, 사하구, 해운대구, 남구, 북구..

  • format_list_bulleted 부산
  • · 2023. 1. 20.
  • textsms

오륙도 상세 설명(2)

용호동 936번지에 위치하고 1972년에 문화재 기념물 22호로 지정되었다. 육지로부터 가까운 것 부터 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 으로 나뉜다. 12만년 전까지 육지에서 이어진 반도 였다. 침식으로 육지에서 분리된다. 오륙도는 방패섬과 솔섬 중 허리 아래가 붙어 있어 밀물때 하나로 보이면 우삭도, 썰물때는 두 개로 나뉘어 방패섬, 솔섬이 된다. 동래부지에는 동(東)에서 보면 봉우리가 6개, 서(西)에서 보면 다섯개가 되어 그리 이름 한다 했다. 셋째 봉우리(수리섬)에는 임진왜란 당시 원군으로 왔던 장수 만세덕의 비가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기록에는 당나라 장수라고 되어 있으나, 명나라 장수 일 것이다. 당나라 군대에게 호되게 당한 기억이 이런 말을 만들었을 것이다. 방패섬은 방패..

  • format_list_bulleted 오륙도
  • · 2023. 1. 16.
  • textsms

오륙도 상세 설명(1)

이기대 산책로 사업은 2006~2011년 까지, 이기대 도시 자연 공원 일원이 정비된다. 1. 방패섬 : 백악기 역암층, 넓이 8미터, 길이 14미터, 13미터 해식애, 대조(大潮)에 파식대가 잠긴다. 솔섬과는 너비 1미터 높이 9미터의 해식 동굴로 분리되어 있다. 썰물때 파식대지가 드러난다. 그래서 5도가 된다. 18종류 식물이 산다. 보리사초, 참억새... 2. 솔섬 : 방패섬과는 너비 1미터 높이 9미터의 해식동굴로 분리 , 높이 32미터 역암층, 62종의 식물이 산다. 0.005제곱키로미터로 4미터의 곰솔이 자란다. 보리장나무가 우점종 이다. 3부 이하에는 파도 때문에 식생이 거의 없다. 3. 수리섬 : 세번째 섬, 0.003제곱키로미터, 높이 33미터, 백악기 역암, 사암 3단의 융기 파식대지로..

  • format_list_bulleted 오륙도
  • · 2023. 1. 16.
  • textsms

Gaya with Formidable Culture and Enduring Legacy

The Gaya Kingdom of Korea, more accurately the Gaya Confederacy founded in 42CE, had a relatively short history by Korean standards. Gaya left the best known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the Gayageum, a significant "plucked zither" instrument with 12 strings. In addition to the most aesthetically pleasing curves on Gaya`s pottery in all of Korea`s history, the Gaya civilization was kno..

  • format_list_bulleted Inside Korea
  • · 2023. 1. 14.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90)
    • 부산 (33)
    • 오륙도 (5)
    • Inside Korea (35)
    • 정의 (1)
    • 밥벌이 (14)
    • 와병기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