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부산

  • 분류 전체보기 (94)
    • 부산 (33)
    • 오륙도 (5)
    • Inside Korea (35)
    • 정의 (1)
    • 밥벌이 (14)
    • 와병기 (0)
  • 홈
  • 태그
  • 방명록
신라의 금 귀걸이 Gold Earrings of Silla

신라의 금 귀걸이 Gold Earrings of Silla

인류가 사랑했고 지금도 사랑하는 재료를 꼽으라면 단연 '금' 이다. 귀금속 중 하나인 금은 귀하고 휘귀한 금속 이라하는 뜻이다.금(Au) , 은(Ag) , 백금(Pt) 자동차 점화 플러그에 쓰이는 이리듐(Ir), 펜촉의 재료가 되는 오스뮴(Os) 충치 씌우개로 쓰이는 팔라듐(Pd) 등이 귀금속에 속한다.금(Au) , 은(Ag) , 동(Cu) 는 모두 주기율표에서 11족으로 최외각에 위치해서 전자수가 같아 물리,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이런 안정성 덕분에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변하지 않아 예로부터 인류는 이 금속을 화폐로 이용해 왔다.농경이 시작되어 생산력이 높아지고 남는 물자가 생겼을때 인류는 남는 물자를 서로 교환하였다. 만약 이때 서로 가진 물건의 가치 기준이 다르다면 물물교환은 이루어 질수가 없..

  • format_list_bulleted 카테고리 없음
  • · 2025. 6. 7.
  • textsms
향기나는 향나무(2)  효도 하는 나무 향나무 "The juniper tree of filial devotion"

향기나는 향나무(2) 효도 하는 나무 향나무 "The juniper tree of filial devotion"

조선은 유교의 사상인 효 孝를 중시 하여 국가에서 시행하는 사직, 종묘, 문묘 제례와 가문의 봉제사를 지극히 받드는 것이 전부인 나라였다. 국가의 제례는 종묘사직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기청제, 기우제, 산신제, 풍우제 등 그 종류가 매우 많았다. 제례에 쓰이는 향은 왕이나 왕세자가 직접 하사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것을 받드는 벼슬을 행향사 行香使 라고 했다.행향사의 소임을 받은 자는 하루 전에 목욕재계하고 향을 받았다. 왕의 향을 받드는 행향사 行香使는 아무리 높은 신료를 만나더라고 말에서 내리지 않아도 되는 특권을 누렸다. 궁중에서는 제례에 쓸 향나무를 직접 심기도 했다. 창덕궁 서편에 어 있는 향나무는 수령이 약 750살로 옆에 있는선왕들의 제레 공간인 선원전의 향불을 올릭 위해서 키운 나무 였다...

  • format_list_bulleted 카테고리 없음
  • · 2025. 5. 27.
  • textsms
향기나는 향나무 (1)  Fragrant incense tree juniper

향기나는 향나무 (1) Fragrant incense tree juniper

인간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좋은 냄새를 인종과 지역을 초월해서 좋아 했다. 인간은 그것을 香향, incense 라고 했다. 인간은 노루, 고래,에서 채추한 동물성 향료로 부터 꽃, 과일, 허브 등의 식물성 향ㄹ료, 그리고 화학성 합성 향료까지 인간의 문명은 향을 탐닉 하는 역사였다.향이라는 한자를 보면 벼 화 禾 자와 가로 왈 曰 자가 합한 모습으로 밥을 씹는 향, 감미롭고 좋은 냄새 를 뜻하며 후각적인 자극을 말한다. 향나무에서 뿜어져 나오는 향은 은은하게 맑아 신비하고 정신을 맑게해 예로부터 모든 향기를 대표해 왔다.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중부 이남으로 많이 자라며 특히 울릉도는 향나무의 천국이다. 도동에서 자라는 향나무는 국내 최고령으로 약 2500살 정도로 기원전 태생도 있다.향나무는 살아..

  • format_list_bulleted 카테고리 없음
  • · 2025. 5. 27.
  • textsms
봉수형 유리병  Bongsu-Shaped glass bottle

봉수형 유리병 Bongsu-Shaped glass bottle

오늘날 건축에 쓰이는 재료중 가장 중요한 세가지는 철, 시멘트, 유리 이다.유리는 창을 내어 빛을 들어오게 하고 단열효과를 주는 건물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산업혁명을 상징하는 건축물을 꼽는다면 185년 영국 만국박람회때 세워진 ' 수정궁 ' 일 것이다. 가로 124m * 세로 564m 약 6만 7000 스퀘어 미터 의 대지에 122 * 30 cm 크기의 유리 3만여장과 4500톤의 주철로 이루어졋다. 영국의 건축가 조셉 팩스턴경이 설계한 것으로 그는 원래가 전문 건축가가 아니라 조경업자 였다.유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1세기에 폴리니우스가 쓴 이다.기원전 2000년 무렵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리로 만든 용기가 처음 등장 하였고 , 기원전 1400~1200 바빌로니아 에서 출토된..

  • format_list_bulleted 카테고리 없음
  • · 2025. 5. 21.
  • textsms
성덕대왕 신종 성분 분석 Composition Analysis of the Sacred Bell of King Seongdeok

성덕대왕 신종 성분 분석 Composition Analysis of the Sacred Bell of King Seongdeok

높이 3.66m, 지름이 2.27m, 두께 11~25cm, 무게 18.9톤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대왕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742년 시작해서 771년에 완성되었고 머리위의 용뉴, 몸체 종신에는 1000자의 명문과 공댱자 상이 새겨져 있다.성덕대왕 신종은 모래주형을 쓰는 중국과 달리 밀랍 주조법을 썼다. 세계에서 가장 큰 종은 러시아 모스크바의 ' 차르 종 Tsar Bell ' 높이가 6.14m, 지름이 6.6m, 무게가 202톤으로 완성직후 화재로 표면에 금이 가고 지지대가 부러져 한 번도 울리지 못했다.1776년 미국 독립정신을 나타내는 ' 자유의 종 ' 은 현재 깨진채 필라델피아 독립 기념관에 있다." 종소리를 더 멀리 보내기 위해 종은 더 아파야 한다 "은 1992년 12월 31일 제야의 종 타종..

  • format_list_bulleted 밥벌이
  • · 2025. 5. 1.
  • textsms
한국과 일본의 담장이 낮은 이유 The Reason Why Walls Low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의 담장이 낮은 이유 The Reason Why Walls Low in Korea and Japan

일본은 기독교 인구가 전체의 1%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결혼식은 교회의 예배당에서 하고 피로연은 호텔에서 프랑스식 코스요리는 대접한다. 안도 다다오가 1986년 완공한 ' 바람의 교회 ' 와 1988년 완공한 ' 물의 교회 ' 가 대표적인 장소이다. 지금도 하루에 4번 정도의 결혼식이 있고 비용은 옵션에 따라 우리돈 2천~4천 만원 정도이다. 극동아시아는 몬순 기후의 영향으로 장마철에 비가 많이 온다. 비가 오면 지반이 약해져서 돌과 벽돌 같은 무거운건축재료를 사용하면 약해진 지반이 감다을 못해서 벽이 쓰러진다. 따라서 가벼운 목재를 사용하여 건축한다. 목재를 주 재료로 사용하면 벽이 아닌 기둥이 지붕을 받치는 모양새가 된다. 나무기둥이 구조체가 되면 기둥과 기둥 사이에 커다란 창문을 만들수 있다...

  • format_list_bulleted Inside Korea
  • · 2025. 4. 28.
  • textsms
전쟁기념관 과 서도호 War memorial park & Do-Ho Suh

전쟁기념관 과 서도호 War memorial park & Do-Ho Suh

지난 100년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전쟁을 한 나라는 미국이다. 2차세계대전, 베트남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카니스탄 전..미국이 자신들의 역사에서 가장 자랑하고싶은 인물들과 전쟁을 기리기 위해 여러 기념관을 모아둔 곳이 수도 워싱턴 DC의 메모리얼 파크이다.그리스 신화에서 저승세계를 가려면 네개의 강을 건너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기독교에서는 '요단강을 건넌다' 라고 표현 하기도 한다. 그렇게 인류 보편적 정서에서 강은 삶과 죽음을 나누는 공간적인 경계이다. 국경이나 땅문서가 없던 고대 인류는 어느 땅이나 걸어서 갈수 있었다. 공간의 경계가 없었던 것이다. 그런 고대 인류에게 유일한 공간적 한계가 있었다. 바로 물이다. 고대 인류는 다리나 배를 만들수 없었다. 그런 사람들에게 강과 같이 건널수 없는..

  • format_list_bulleted 카테고리 없음
  • · 2025. 4. 16.
  • textsms
제주해녀 Jeju haenyeo(female divers)

제주해녀 Jeju haenyeo(female divers)

해녀의 기원은 고대 원시 어업 부터이다. 2016년 유네스코는 제주 해녀문화의 가치와 보전의 필요성을 인정해서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우리나라 해녀는 약 2만명으로 추산하는데 대부분이 제주도 출신이다.제주는 화산섬으로 토양이 농사 짓기에 적합하지 않다. 대부분의 남자들이 고기잡이 배를 타야 했고 배를 타다가 돌아 오지 못하면 여자들이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해녀들은 개인보다는 공동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바다를 단순히 채취의 대상으로 여기지 않고 공존의 대상으로 인식 했다.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바다를 관장하는 용왕신에게 안전과 풍어를 비는 해녀굿을 비롯해 해녀노래 등도 전승해 왔다. 해녀들의 무자맥질은 수심 5m에서 30초 정도를 견딜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심 20m까지 들어가서 2분 이상을 견딜때..

  • format_list_bulleted Inside Korea
  • · 2025. 4. 5.
  • textsms
Jinhae Cherry Blossom 진해벚꽃 (3)

Jinhae Cherry Blossom 진해벚꽃 (3)

1962년 벚꽃의 원산지에 대한 논쟁이 한일 간에 있었다. 1962년 4월 19일 ` 일본국화 왕벚나무의 원산지는 제주도` 라는 기사가 동아일보에 실렸다. 다음에 4월에도 ` 왕벚나무 원산지는 역시 한라산 ` 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일본에는 자생하는 벚나무가 없었다. 1965년 한국정부는 한라산에 자생하는 왕벚나무를 천년 기념물로 지정했고 원산지 논란은 끝나는 것 처럼 보였다. 벚나무 종류는 다른 벚나무 종과 쉽게 교잡 할 수 있어서 그 기원을 밝히기가 어렵다. 이리저리 퍼져나간 종류만 200여종이 있다. 일본은 본국과 한국에서 자라는 왕벚나무 모두 재배종 이라 했다. 한라산에 자생 왕벚나무가 있는 것은 맞지만 이 역시 일본에서 교잡해서 생겨난 재배종 이라고 맞선다.1960년대 들어 정권을 잡은 박정희 ..

  • format_list_bulleted Inside Korea
  • · 2025. 3. 31.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
  • 11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94)
    • 부산 (33)
    • 오륙도 (5)
    • Inside Korea (35)
    • 정의 (1)
    • 밥벌이 (14)
    • 와병기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