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구의 세계
신의세계, 내가 있는 세계로 나누고 형이상학적 세계에 도달하기 위해 몸부림 친다.
수직적 도달, 왕권강화..높은곳에 도달 하려 하기 때문에 수직적 춤을 유도한다. 서양의 건축도 그러하다.
발끝으로 서고 손 끝은 하늘을 향한다. 수직적 도약을 위해 중력을 거스른다.
2. 우리나라
수평적사고, 내가죽어 윤회하며 현세로 돌아온다.
사후세계에 대한 불안은 인과응보라는 실천으로 해소 했다. 둥근기와, 한복의 곡선, 둥근 무덤...
대지와 하나가되어 둥근형태를 보이는 춤 동작, 수평적 어깨춤, 한국춤은 듣고 느끼는것, 분석말고.
3. 무용인구 여자가 많다. 대가는 남자들이 눈에 띈다.
우리 춤의 르네상스는 86, 88 아시안게임, 올림픽
1970년대 리틀엔젤스 무용단이 부채춤, 장구춤 등을 소개 했다.
4. 우리춤 대가
개화기 : 한성준 (1874~1942) : 수건춤, 승무, 학춤
이동안(1906~1995) : 화성 재인청 출신
승무, 검무, 입무, 태평무..
최승희: 이시히 바쿠후 사사, 한성준 사사
5. 승무 : 부처님에게 드리는 공양, 신업공양
황진이가 수도승 지족선사를 파계시킬 목적으로 세모시 장삼에 붉은가사를 입고 춤을 춘 것이 시작이라는 설, 지족선사는 파계 했다는...
세상의 번민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인간의 욕구
6. 춤은 제의 절차
무당이 작두를 탈때 뇌의 알파파가 최대로 상승한다. 한국무용에서도 창작보다는 전통무용을 할때 더 많이 발생한다. 그래도 무당이 작두를 탈때 만큼은 안나온다.
한강이북, 제주 : 강신무, 팔을 머리위로 뻗고 좌우 흔들고 도약
한강이남 : 세습무, 축원의 성격, 몸과 팔을 좌우로 흔든다. 매우진지, 신칼, 망자옷, 매듭띠..
7. 태평무 : 나라의 평안을 기원, 궁중잔치에서 윗 사람에게 바치는 춤, 어떤이는 무속에서 왔다고도 했다. 옷은 왕비옷, but 음악은 굿당에서 쓰이는 장단이다. 태평성대, 안녕을 기원
8. 검무 : 오늘날 검무는 진주지방에서 전파되다가 궁중으로 전래 되었다.
그 시작을 7세기 신라시대 무렵이라고 추측한다. 가장오래된 궁중무다.
신라시대 황랑창 이라는 사내아이가 백제에 들어가 칼춤을 추었다. 유명해지자 어느날 백제 왕이 소년을 궁으로 초청했다. 소년은 왕 앞에서 춤을 추다가 돌연 백제왕을 찔러 죽였고 소년은 처형된다.
조선시대 궁중전래, 화려한의상, 짧은 칼, 병사의 사기를 북돋아 주는 상징적 의식무 이다.
칼 손잡이 10cm, 칼 길이 23cm
9. 부채춤 : 1954년 서울시 공관에서 처음 발표, 한국무속에서 무당들이 들고 추던 부채에서 소재를 얻어서 창작된 춤이다. 최승희의 제자 김백봉 선생에 의해 재창작된 것이다.
세계 민속춤 소품 가운데 부채만큼 흔하고 공통적인 것이 없다. 민속의상에 맞게 화려한 문양, 문화재 지정 앞두고 각론 분분..
10. 입춤 : 춤의 입문과정에서 추는 기본춤 입무(入舞) 춤을 이룬 대가들이 처음 춤을 접하는 사람에게 수련을 목적으로 추는 춤이다.
장단, 의상, 순서 중요치 않다. 자연스러운 감정, 호흡의 표출이 중요하다.